본문 바로가기

고양이사진12

괭이눈 1998년이었던것 같다. 필리핀 마닐라, 왕복 6차선은 될법한 넓은 차도, 그 가운데 중앙선 역할을 하는 화단이 있었다. 화단 가운데 옹기종기 모여있는 새끼고양이들, 깜짝 놀라서 쳐다본 나의 시선에 화들짝 놀란 모습이 요녀석과 똑같다. 20090903/낙산사 2015. 3. 3.
문턱위의 고양이 안과 밖의 경계, 얇다란 미닫이 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엄청난 환경이 펼쳐 진다. 꼬롬한 발 냄새 킁킁 나는 문 앞에서 미닫이가 열리기만을 기다린다. 20140408/군포 속달마을 2014. 4. 16.
빵값은 줘야지 도봉산 우이암이 잘 보이는 원통사 뒷 봉우리, 배낭을 뒤져 샌드위치랑 빵조각을 우걱우걱 쑤셔넣고 있었다. 산괭이 한녀석이 뚫어지게 쳐다 보고 있다. 이녀석은 이미 등산객이 던져주는 음식 부스러기에 길들여져 있었다. 한참을 쳐다본다. 빵을 한조각 뜯어서 던져주니 낼름 잘도 받아 먹는다. 내가 앉은 바로앞에 빵조각을 올려뒀다. 머릿속으로 무슨 생각을 할까? 한참을 노려보기만 할 뿐 미동이 없다. 그러다 내가 한 눈이라도 팔면 순식간에 낙아채간다. 오호~ 다시 한번 빵 조각을 올려두고 카메라를 고정했다. 그리고 시선은 고양이에 고정한 채 고개를 돌렸다. 눈알이 사팔뜨기가 됐다. 이녀석 걸려들었다. 찰칵 찰칵 찰칵 빵값이라고 생각해. 20130906/우이암 2013. 9. 9.
겉방살이 짐승이 부러워 우이동 풍성식당, 원석이네.. 오래 묵은 식당과 치렁치렁 배낭과 등산복 차림의 무리를 빠져나와 한갓길로 들어섰다. 의암 손병희의 묘소가 나왔다. 이곳은 우이동이 주는 "낡음"의 이미지와는 정 반대다. 럭셔리한 정원에 전원주택같은 풍의 집들이 들어서 있다. 정년을 넘겼을 법한 주인이 마당 잔디에 물을 뿌리며 오후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한 구석퉁이에는 전원주택의 꽃인 바베큐 그릴이 화려한 만찬을 목 말라하며 입을 열고 있다. 북한산 둘레길이 지나는 삼양로 169길, 부러움의 대상인 주택에서 곁방살이 하는 짐승들까지 부럽다. 20130905/우이동 2013.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