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 방문의 해-화성행궁

반응형
반응형

정조의 효심이 느껴지는 화성행궁 방문기

올해, 2016년은 '수원화성방문의해'라고 합니다. 그래서 1월 매서운 한파를 뚫고 가족이 함께 수원화성으로 향했습니다. 수원화성은 비운의 죽음을 맞은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아들 정조대왕의 애틋한 효심이 깃들어 있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정조는 양주 배봉산에서 조선 최고의 명당이라는 수원 화산으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옮기고 부근의 마을을 현재의 팔달산 아래로 옮기면서 수원화성을 축성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수원화성에서 서어장대 아랫쪽에 가장 핵심 건물인 행궁이 있습니다. 행궁은 왕이 궁궐 밖을 행차할 때 임시로 머무는 궁궐을 말하죠.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에 능행할 목적으로 건축됐습니다. 화성행궁은 전체 규모가 557칸으로 다른 행궁에 비해 상당히 크게 지어졌습니다.   

 

그리고 수원화성과 행궁은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이기도 합니다. 매년 가을에는 정조대왕의 효심과 개혁에 대한 꿈으로 축성된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정조대왕 능행차와 수원화성을 무대로 펼쳐지는 무예종합예술공연 등의 대규모 퍼포먼스와 혜경궁홍씨 진찬연 등의 재현행사 등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행사가 열리 문화관광 축제인 '수원화성문화제'가 열리기도 합니다.

 

화성 행궁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낙남헌을 제외하고는 거의 멸실됐다가 현재 일부가 복원돼 공개되고 있습니다. 

  

행궁 입구에는 오랫동안 이 자리를 키켜온 느티나무가 있습니다. 600년이 됐다고 하니, 화성행궁 건축 당시에도 꽤나 컸었법한 고목이었겠지요.

반응형

화성 행궁의 정문은 '신풍루'입니다. 신풍루를 지나면 좌익문, 중양문을 지나면 봉수당이 나옵니다.

 

모든 궁궐 정문에는 '하마비'가 있습니다. 말을 타고 갈 수 있는 끝지점이기도 합니다. 

 

화성행궁을 중심으로 북극점, 남극점 등 세계 주요 도시의 방향과 거리가 나와있는 이정표 입니다.

 

수원화성 과 행궁이 한눈에 나와있는 지도입니다.

 

화성행궁의 전경입니다.

 

대장금, 이산, 해품달, 왕의 남자 같은 드라마와 영화를 이곳 화성행궁에서 촬영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추춘 날씨에도 중국사람들이 보이더군요.

 

신풍루를 지나면 운동장처럼 넓은 마당이 나옵니다. 이 마당을 지나면 화성행궁의 정당인 봉수당이 나옵니다.

 

봉수당으로 들어가는 어도입니다. 어도는 임금만이 갈 수 있는 길입니다.

 

정조대왕의 옥좌가 있는 봉수당입니다. 이곳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열었다고 합니다.

 

옥쇄로 찍는 스템프 체험

 

화성성역의궤에 있는 팔폭병풍도 입니다. 화성전도, 주교도, 시흥환어행렬도, 득중정어사도, 낙남헌양로연도, 봉수당진찬도, 서장대성조도,화성성묘전배도 가 한폭 한폭 전시되어 있습니다. 그림 하나하나를 보고 있자니 당시 임금 행차에 얼마나 많은 인원이 동원됐는지 지금의 대통령 행사와는 규모 자체가 다른것 같습니다. 

 

일제강점기에 화성행궁이 철거될 당사에도 훼손되지 않고 현존하는 화성행궁의 유일한 전각입니다. 1794년에 완공됐으니 220년이 넘었습니다.

 

200여년전, 낙남헌은 정조와 양반, 백성들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잔치마당의 무대였습니다.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기념하여 군사들의 회식과 양로잔치를 이 곳에서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특별과거시험을 치러 급제자에게 합격증을 내려주는 행사도 하기도 했다네요.

 

낙남전을 뒤로 하고 정조대왕의 어진이 있는 화령전으로 향합니다.

 

화령전의 정조 어진입니다. 어진은 2005년에 새로 제작된것이라고 합니다. 화령전은 정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순조가 화성에 모신 아버지 정조께 문안을 드리는 전각으로 건축됐습니다. 정조 사당인 셈입니다.

 

아이가 굵은 눈물을 흘립니다. 사도세자에 대한 정조의 효심에 감동한 것일까요?  안타깝지만 세차게 부는 바람과 냉동창고 같은 날씨때문으로 눈물이 난거였습니다.

 

화령전의 정전인 운학각이 보입니다.

 

왔던곳으로 다시 되돌아 갑니다. 날씨가 추워도 너무 춥습니다.

 

한 무리의 아이들이 몸을 잔뜩 움크린채 걸어 오고 있습니다.

 

1795년 열렸던 혜경궁 홍씨의 회갑잔치인 '진찬회' 모형도 입니다.

 

혜경궁 홍씨의 진찬회에 차려졌던 산해진미 입니다.

 

 

유여택 앞뜰에 있는 해시계 '양부일구'입니다. 유여택은 평상시에는 화성 유수가 거처가다가 임금이 행차하면 잠시 머무르면서 신하를 접견하는 곳입니다.

 

마당 한쪽에 쌀뒤주가 칸칸이 들어 있습니다. 사도세자가 비통한 죽음을 맞았던 뒤주입니다.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었던 곳은 이곳이 아니라, 창경궁 문정전 앞마당이라고 합니다. 

 

아이들이 뒤주에 들어갈 수 있도록 체험도 합니다.

 

사또가 있던 수원 동원, 장남헌이라고 써진 편액을 정조가 쓴 것이라고 합니다.

 

궁중악기를 보관하는 기층헌이라는 창고 입니다. 진고 특종 편종 특경 수공후 운라 방향등 전통 타익기가 보관되어 있습니다.

 

 

어마어마하게 추운 날씨에 허겁지겁 행궁을 돌았습니다. 찬찬히 보아야 하지만 발걸음은 급하게 걷습니다. 그리고 남한산성 행궁 처럼 규모가 작을 줄 알았는데 미쳐 가 보지 못한 전각들이 많을 정도로 규모가 대단합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